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활동주체가 함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합니다.
※ 국토부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 中 “풀뿌리 도시재생 거버넌스 구축”
단계별 도시재생 역량강화 지원체계
주민의 역량을 강화하고 직접 소규모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
→ 활성화계획 수립 및 뉴딜사업 추진에 주민의 적극적 참여기반 조성
뉴딜사업 선정 전 또는 마중물사업 추진 이후 단계
뉴딜사업 추진 기간
주민조직화 및 역량강화
도시재생 대학 운영 지원
주민주도 과제 기획, 실행
주민참여 프로젝트 운영 지원
소규모 단위사업 추진
주민제안 소규모 재생사업 지원
활성화계획 수립 및 추진
뉴딜사업 선정 및 지원
역량 강화 | 주민 참여 | 현장중심 재생 |
---|---|---|
지역이 교육 과정을 직접 기획하고 시행할 수 있도록 ‘도시재생대학*’ 중심의 지역주도 교육체계 확립(총 200개 이상 육성) | 소규모 재생사업*을 주민 등이 제안하면 선정(`18년 50억원),주민 참여 프로젝트 팀** 을 구성하여 집중 컨설팅 지원(`18.4~) | 도시재생지원센터를 활성화하고(총 300곳) 주민서비스의 통합 플랫폼으로 발전 유도(주거복지센터, 창업지원센터 등 연계) |
* 지역에서 기획·시행하는 도시재생 관련 교육 프로그램(`17년말 33곳) | * 집수리 등 마을재생 경제조직 설립, 빈집 리모델링 시범사업, 마을도서관 등 ** 지역 주민, 서비스 디자이너 등 전문가, 도시재생지원센터 직원 등이 참여 |
통합플랫폼 모델안
통합 서비스 제공
협력모델 개발
주거복지 지원센터
사회적경제지원센터
돌봄/자활지원센터
창업지원센터
도시재생 지원센터
방안 1) 공간적 결합 모델
도시재생어울림 플랫폼 등
혁신공간에 각 분야 센터 입주유치
* 각 분야 센터가 입주한 공간에 도시재생
지원센터가 입주하는 형태 등도 가능
방안 2) 운영상 결합 모델
주민서비스 생산·전달 체계
협력모델 발굴 유도
동일 주체에 위탁 운영 등